제대로 선 넘었다는 북한 간첩들, '이태원 참사'를 이용하려 했다는 혐의가 제기됐다
2022년 10월 할로윈을 앞두고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이태원 압사 사고는 전국민을 충격에 빠뜨렸으며 애도의 물결이 계속되었다. 사건 발생 4달이 지난 최근 북한이 이태원 압사 사고를 반정부 시위의 도화선으로 사용하려 했다는 충격적인 내용이 보도되었다.
MBN의 보도에 따르면 이태원 압사 사건 발생 이후 북한은 '제2의 국민촛불대항쟁을 일으키는데 목표를 두라'와 같은 지령을 '자주통일민중전위' 관계자에게 전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외에도 '전국적인 운동을 일으켜라'는 추가적인 지령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해당 지령을 내린 것은 '문화교류국'으로 이는 북한의 대남공작기구에 해당한다. 해당 사실은 참사로 인해 국민적 애도의 물결이 이어지는 도중에 이를 반정부 시위를 위한 도화선으로 활용하려 했다는 점에서 국민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해당 지령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피의자 측은 '수사기관의 일방적 주장으로 법정에서 밝히겠다'고 입장을 말했다.
이와 별개로 최근 국정원은 자주통일 민중전위의 관계자 4명을 서울중앙지검에 구속 송치하기도 했다.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이들은 경상남도 창원을 중심으로 결성된 자주통일 민중전위에서 활동하며 2016년을 기점으로 북한 관련 인사와 접촉하고 그들의 지령을 받았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정확한 결과는 수사 결과가 나와야 알겠지만, 음지에 숨어 활동하던 간첩 조직들의 실체가 하나씩 들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국민들은 적지않은 충격을 받고 있다. 간첩이라고 하면 1960~1990년대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실제로는 2020년 이후에도 간첩활동이 식별되어 형을 받은 이들도 존재한다.
2022년에는 현직 대위인 13특임여단 소속 장교가 북한측에서 비트코인을 대가로 기밀을 유출하여 간첩 혐의를 적용받았으며, 2019년에는 스님 간첩 사건이 있기도 했다. 스님 간첩사건은 북한의 '정찰총국'을 통해 지시를 받고 한국으로 파견된 간첩을 검거한 사건으로 스님으로 위장하여 국내 불교계에 잠입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스님 간첩사건으로 불린다.
정부수립 이후 최대의 간첩 사건을 꼽으라고 하면 '남한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 사건'을 꼽을 수 있다. 이는 노태우 정부 시기에 수사가 이루어지고 발표된 간첩 사건으로 구속된 사람만 62명에 달하는 것은 물론 300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수배대상에 오르기도 하였다.
또한 당시 간첩 사건의 총지휘를 맞았던 '이선실'은 북한 권력서열 22위에 위치한 정계의 거물이었던 만큼 매우 큰 충격을 안겨주기도 했다.
이처럼 북한의 간첩으로 인한 한국의 안보위협은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이번에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자주통일 민중전위'를 비롯해 국내 활동 중인 간첩들의 혐의가 인정된다면 또 한번의 국가 안보가 위협받게되는 것으로 대중들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